재가했다 뜻 '재가했다'라는 말을 종종 쓰곤 하는데요, 재가했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재가했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가했다'는 '재가하다'의 과거형으로 한자어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요, 한자별 '재가하다'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재가(裁可)하다. ① 안건을 허락하여 승인하다. (예) 대표님이 기획안을 재가했다. (예) 대통령은 임명안을 재가했다. (예) 면직안을 대통령이 재가했다. ② 왕이 안건에 어새를 직접 찍어 결재하여 허가하다. (예) 전하께서 과거 시험을 재가했다. (예) 임금께서 죄인 방면을 재가했다. 2. 재가(再嫁)하다. 남편과 사별하거나 이혼한 후 다시 결혼하다. (예) 어머니는 올 봄에 재가했다. (예) 그녀는 이혼 후에 재가했다. (예) 그녀는 남편과 사별 후 재가했다. 3. 재.. 지식상식 2023. 4. 5. 영화 시나리오 용어 영화나 드라마의 대본인 시나리오 용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영화 시나리오 용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S#(Scene Number) : 장면의 번호 - NAR(Narration) : 해설- F.I(Fade In) : 화면이 점차 밝아 옴- F.O(Fade OUT) : 화면이 점차 어두워짐- O.L(Over Lap) : 화면이 겹치면서 장면을 전환 - PAN(Panning) : 카메라를 상좌우로 움직임 - N.G(No Good) : 촬영에 실패한 경우 - E(Effect) : 효과음- 타이틀(Title) : 자막- 콘티뉴이티(Continuity) : 현장용 촬영 대본 - 인서트(insert) : 장면 사이의 삽입 화면 - C.U(Close up) : 일부분을 확대해 찍는 것- 크랭크.. 지식상식 2023. 3. 30. 헌법재판소의 역할 헌법재판소 하는일 헌법재판관 임기 헌법재판소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헌법재판소 하는일과 헌법재판관 임기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 하는일은 크게 법률심판, 탄핵심판, 정당해산심판, 권한쟁의심판, 헌법소원심판 등 다섯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헌법에 관한 분쟁이나 법률의 위헌 여부, 탄핵, 정당의 해산 등을 사법적 절차에 따라 해결하는 특별재판소로 1988년에 출범하였으며 그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위헌법률심판권 국회가 제정한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심사하고 그 법률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효력을 상실하게 하거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재판을 말합니다. 이렇게 위헌 결정을 받는 법률 또는 법조항은 결정을 받은 날부터 효력을 잃게 됩니다. 법률이 효력을 잃는다고 해서 과거에 적용.. 지식상식 2023. 3. 28. 옷이 날개다 뜻 '옷이 날개다'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옷이 날개다'는 어떤 뜻일까요? 옷이 날개다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옷이 좋으면 사람이 한층 돋보이게 된다는 뜻. (예) 옷이 날개라고 웨등드레스를 입은 신부는 선녀처럼 예뻤다. (예) 그녀는 '옷이 날개다'라며 늘 옷을 산뜻하게 다려서 입는다. (예) 옷이 날개라더니, 그가 좋은 옷을 입으니 평소 보다 기품이 있어 보였다. 어떤 옷을 입느냐에 따라 사람의 외모나 인상이 달라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입은 거지는 얻어먹어도 벗은 거지는 못 얻어먹는다'는 속담도 있지요. 1. 옷이 날개라. 옷이 좋으면 사람이 한층 돋보이게 됨. 2. 의복이 날개라. 옷을 잘 입으면 누구나 돋보인다는 뜻. 3. 입성이 날개라. 옷이 좋으면 사람이 한층 돋보이게 됨. 4. 양포지구(.. 지식상식 2023. 2. 14.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뜻 불교 용어의 하나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어떤 뜻일까요?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길상존(吉祥尊)이시여 길상존이시여 지극한 길상존이시여 원만 성취하소서’라는 뜻입니다. ① 수리 '길상존(吉祥尊)'라는 뜻. '길상존'이란 부처님이나 보살(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등)처럼 깨달음을 얻은 존귀한 분들을 의미하며, 마하수리는 이들을 더 높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② 마하 '크다'라는 뜻. ③ 마하수리 '대길상존(大吉祥尊)'이라는 뜻. ④ 수수리 '지극하다'는 뜻. ⑤ 사바하 '원만 성취'라는 뜻.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sri sri maha sri su sri svaha)'는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하게 씻어내기 위해 외우는 일종의 주문입.. 지식상식 2023. 2. 10. 허벌나게의 뜻 '허벌나게'라는 말이 있는데요, '허벌나게'는 어떤 뜻일까요? 허벌나게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양이 푸지게 많거나 정도가 심하게' 또는 '굉장하게'라는 뜻입니다. (전라 지방의 방언) 주로 '굉장히, 대단히'라는 의미로 많이 쓰이는데, 어떤 일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허벌나게'의 기본형은 '허벌나다'입니다. ※ 허벌나다. 전라 지방의 방언으로 '양이 푸지게 많거나 정도가 심하다' 또는 '굉장하다'는 뜻. '허벌나다'는 주로 부사형 어미 '-게'와 어울려 '허벌나게'와 같이 사용됩니다. (예) 물고기를 허벌나게 많이 잡았다. (예) 토종닭이 몸보신에 허벌나게 좋다. (예) 오늘은 허벌나게 추운 것 같다. (예) 오늘 허발나게 고생이 많았다.(예) 이 식당은 음식.. 지식상식 2022. 12. 19. 남보다 먼저 사물이나 세상일을 깨달은 사람 남보다 먼저 사물이나 세상일을 깨달은 사람을 뜻하는 단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남보다 먼저 사물이나 세상일을 깨달은 사람을 뜻하는 단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선각자(先覺者) 남보다 앞서 깨달은 사람. 2. 선각(先覺) 사물의 변천이나 앞으로 다가올 일 등을 남보다 먼저 깨달은 사람. 3. 선구자(先驅者) 어떤 일이나 사상에 있어 그 시대의 다른 사람보다 앞선 사람. 4. 선구(先驅) 다른 사람보다 앞서 어떤 일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실행한 사람. 5. 선지자(先知者) 남보다 먼저 깨달아 아는 사람. 6. 선견자(先見者) 남보다 먼저 깨달아 아는 사람. / 앞으로 닥쳐올 일을 미리 내다보고 아는 사람. 7. 선도자(先導者) 남들보다 먼저 앞에서 이끄는 사람. 8. 개척자(開拓者) 남들보다 먼저 .. 지식상식 2022. 12. 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