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회가 새롭다 뜻 '감회가 새롭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감회가 새롭다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일을 돌이켜 보니 생각이나 느낌이 새롭다'는 의미입니다. '감회가 새롭다'에서 '감회(感懷)는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를 뜻합니다. ① 감회(感懷)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② 감회가 새롭다. 지난 일을 돌이켜 보니 생각이나 느낌이 새롭다. ③ 감회가 남다르다. 지난 일을 돌이켜 보니 생각이나 느낌이 특별하다. ④ 감회를 느끼다. 지난 일이 마음 속에 깊이 느껴지다. ⑤ 감회에 젖다. 지난 일을 깊이 생각하다. '감회(感懷)의 원어는 감구지회(感舊之懷)입니다. ※ 감구지회(感舊之懷) 지난 일을 더듬으며 느끼는 회포. ① 모교를 보니 감회가 새롭다. ② 땅을 밟으니 감회.. 지식상식 2022. 6. 8.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뜻 고인과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라고 인사말을 전하는데요,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는 어떤 뜻일까요?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겸손하고 몹시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고인의 죽음을 슬퍼합니다'라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고인의 죽음을 진심으로 슬퍼합니다'라는 뜻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 '삼가'는 '겸손한 마음으로 정중하게, 조심하는 마음으로 정중하게, 존경하는 마음으로 정중하게'라는 의미이고, '조의(弔意)'는 '다른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는 마음'이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는 겸손하고 몹시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고인의 죽음을 슬퍼합니다'라는 의미를 지닌 위로의 인사말로, 상갓집에서 고인과 유가족을 위로할 수 있는 최고의 위로 인사.. 지식상식 2022. 4. 14. 귀가 따갑다 뜻 우리는 귀가 따갑다는 말을 종종 쓰곤 하는데요, 귀가 따갑다는 무슨 뜻일까요? 귀가 따갑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끄러워서 듣기가 괴롭거나, 여러 번 반복되어 듣기가 싫다는 뜻입니다. (예) 계속 되는 여치 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엄마의 잔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포크레인 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공장의 기계 소리에 귀가 따갑다. 1. 시끄러워서 듣기가 괴롭다. (예) 매미 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구멍 뚫는 드릴 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자동차 소음에 귀가 따갑다. 2. 여러 번 반복되어 듣기가 싫다. (예) 시집가라는 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결혼하라는 소리에 귀가 따갑다. (예) 계속되는 잔소리에 귀가 따갑다. 귀가 따갑다와 의미가 같은 말은 '귀가 아프다'입니다. ※ .. 지식상식 2022. 4. 6. 마음이 아리다 뜻 '마음이 아리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마음이 아리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음이 몹시 고통스럽다는 뜻입니다. 즉, '마음이 찌르는 것처럼 쓰리고 아프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마음이 몹시 고통스러울 때 '마음이 아리다' 혹은 '가슴이 아리다'라고 표현합니다. ① 마음이 아리다. 마음이 몹시 고통스럽다. (예) 아픈 아이 때문에 마음이 아리다. (예) 늙으신 부모님을 뵈면 마음이 아리다. ② 가슴이 아리다. 마음이 몹시 고통스럽다. (예) 아픈 동생을 보면 가슴이 아리다. (예) 그녀와 헤어지니 가슴이 아리다. 1. 마음이 몹시 고통스럽다. (예) 죽은 아내를 생각하면 마음이 아리다. (예) 그녀와의 이별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리다. 2. 상처나 살갗 등이 찌르는 듯 아프다. (예) 화상을 입은 부위가 .. 지식상식 2022. 3. 10. 보이시한 뜻 '보이시한'이라는 말을 종종 듣곤 하는데요 '보이시한'은 어떤 뜻일까요? 보이시한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위기가 발랄하고 산뜻하여 소년을 연상케 하는 느낌이 있는'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보이시한'은 영어 boyish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영어 boyish는 '소년다운' 사내아이 같은' '소년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말이 우리나라에서는 '보이시하다' '보이시한' '보이시하니' 등으로 쓰이면서 '분위기가 발랄하고 산뜻하여 소년을 연상케 하는 느낌이 있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예) 보이시한 매력과 털털한 느낌을 준다. (예) 보이시한 매력과 여성스러운 느낌이 동시에 든다. (예) 그녀는 보이시한 매력이 있는 여자다. (예) 보이시한 매력이 눈길을 끈다. ① 보이시하다 분.. 지식상식 2022. 2. 14. 열사와 의사의 차이 '열사(烈士)'와 '의사(義士)'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열사와 의사의 차이애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열사((烈士) ①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나라를 위해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 ② 국가보훈처의 설명맨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사람. ③ 국립국어원의 설명나라를 위해 이해를 돌아보지 않고 절의를 지킨 사람. 위의 의미를 종합해 보면 열사(烈士)란 나라와 민족을 위해 저항하다가 의롭게 돌아가신 분으로, 주로 맨몸으로 싸우거나, 무력적인 행동 대신 강력한 항의나 죽음 등으로 자신의 의지를 표명해 정신적인 위대함을 보여줬으나, 자신이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안타깝게 돌아가신 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열사로는 ① 유관순 열사(나라와 민족의 독립을 위해 3.1 .. 지식상식 2021. 11. 6. 각설하고 뜻 우리는 '각설하고'라는 말을 종종 쓰는데요 '각설하고'는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각설하고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그만두고 화제(이야기의 재료나 소재)를 다른 쪽으로 돌리고'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하면 '그건 그렇고'라는 의미로 쓰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 각설하고, 너의 계획이나 들어보자. (예) 각설하고, 내 말부터 들어 보세요. (예) 각설하고, 이유부터 들어보자. '각설하고'의 원형은 동사 '각설하다'입니다. * 각설(却說)하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그만두고 화제(이야기의 재료나 소재)를 다른 쪽으로 돌리다. '각설(却說)하다'는 주로 '각설하고'의 형태로 쓰여 말이나 글 등에서 화제를 돌려 다른 이야기를 꺼낼 때, 앞서 이야기하던 내용을 그만두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지식상식 2021. 9. 16.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