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통성이 없다 뜻 융통성 비슷한 말 우리는 '융통성이 없다'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융통성이 없다는 어떤 뜻일까요? 또 융통성과 비슷한 말은 무엇일까요? 융통성이 없다 뜻, 융통성 비슷한 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때그때의 사정과 형편을 보아 일을 처리하는 재주가 없다. 또는 일의 형편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는 재주가 없다. (예) 그는 융통성이 없는 사람이다.(예) 그는 융통성이 없기로 소문이 났다.(예) 융통성이 없는 사람과 일을 하려면 정말 힘들다. ※ 융통성 뜻 그때그때의 사정과 형편을 보아 일을 처리하는 재주. 또는 일의 형편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는 재주. ① 간사위 치밀하고 융통성이 있는 수단.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쓰는 교묘한 수단. ② 돌림성 일을 주선하거나 변통하는 솜씨. ③ 두름성 일을 주선하거나.. 지식상식 2023. 7. 23. 초상집 봉투글쓰기 초상집(상갓집)에 부조할 봉투에는 어떤 글을 적어야 할까요? 초상집 봉투글쓰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근조(謹弔) 사람의 죽음에 대해 공손하고 조심스러운 태도로 슬픈 마음을 나타낸다는 뜻. 2. 비도(悲悼)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고 무척 안타까이 여긴다는 뜻. 3. 부의(賻儀) 초상집에 도와주는 의미로 돈이나 물품을 보낸다는 뜻. 4. 애도(哀悼)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고 안타까워한다는 뜻. 5. 위령(慰靈)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로한다는 뜻. 6. 애척(哀戚)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고 안타까워한다는 뜻. 7. 애상(哀傷)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슬퍼한다는 뜻. 8. 전의(奠儀) 초상집에 부조로 돈이나 물품을 보낸다는 뜻. 9. 조의(弔意) 남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10. 조도(弔悼) 죽.. 지식상식 2023. 7. 21. 만들다 한자어 '만들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만들다 한자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제조(製造)하다 공장에서 큰 규모로 물건을 만들다. 원료에 인공을 가하여 정교한 제품을 만들다. 2. 개발(開發)하다 토지나 천연자원 등을 유용하게 만들다. 지식이나 재능 등을 발달하게 하다. 4. 제품(製品)하다 원료를 써서 물건을 만들다. 5. 창작(創作)하다 방안이나 물건 등을 처음으로 만들어 내다. 예술 작품을 독창적으로 지어내다. 6. 고안(考案)하다 연구하여 새로운 안을 생각해 내다. 7. 발명(發明)하다 아직까지 없던 기술이나 물건을 새로 생각하여 만들어 내다. 8. 제정(制定)하다 제도나 법률 등을 만들어서 정하다. 9. 조성(造成)하다 무엇을 만들어서 이루다. 분위기나 정세 .. 지식상식 2023. 7. 17. 주일 뜻 주말 뜻 우리는 '주일'과 '주말'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주일'과 '주말'은 구체적으로 어떤 뜻일까요? 주일 뜻, 주말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주일(週日) ①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이레 동안. (예) 우리는 주일 단위로 보수를 받는다.(예) 이번 주는 이달의 마지막 주일이다.(예) 이번 주일은 정말 너무나 바쁘다. ※ 주일(週日)과 같은 말은 '주(週)'입니다. ② 이레 동안을 세는 단위. (예) 금년도 몇 주일 안 남았다.(예) 두 주일 후면 겨울 방학이다.(예) 이 일은 약 두 주일 정도면 끝낼 수 있다. 2. 주일(主日) 기독교에서 ‘일요일’을 이르는 말. (예) 그녀는 주일마다 교회를 간다.(예) 그 식당은 주일마다 쉰다. (예) 주일에는 가게를 닫고 교회를 가야지. 3... 지식상식 2023. 7. 5. 장고끝에 악수 뜻 '장고끝에 악수'라는 말이 있는데요, 장고끝에 악수는 어떤 뜻일까요? 장고끝에 악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오랜 생각 끝에 나쁜 수를 둔다'는 뜻입니다. ① 장고(長考) 오랫동안 깊이 생각함. ② 악수(惡手) 바둑이나 장기에서 잘못 두어 상대방을 이롭게 하는 나쁜 수. 일의 처리 과정에서 잘못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 장고하다 오랫동안 깊이 생각하다. ④ 장고끝에 악수 오랜 생각 끝에 나쁜 수를 둔다. (예) 그는 장고 끝에 악수를 두고 말았다. (예) 바둑을 둘 때 장고 끝에 악수를 두는 경우가 많다. '장고 끝에 악수를 둔다'는 말은 주로 바둑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일상에서도 오랜 생각 끝에 결정한 일이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왔을 경우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 지식상식 2023. 6. 12. 국궁 과녁거리 국궁 과녁 규격 양궁 과녁거리 양궁 과녁 크기 우리나라의 전통 활이 국궁이고 서양의 활이 양궁인데요, 국궁 과녁거리, 국궁 과녁 규격, 양궁 과녁거리, 양궁 과녁 크기는 어떻게 될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국궁의 과녁거리는 145m입니다. 국궁의 화살 위치는 활의 오른쪽(활을 기준으로 화살을 당기는 손의 방향)이며, 활의 시위는 어깨까지 당깁니다. 국궁의 경우 보조장치가 전혀 없어 원시적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양궁의 과녁거리는 30m~90m입니다. 양궁의 화살 위치는 활의 왼쪽(활을 기준으로 화살을 당기는 손의 반대방향)이며, 활의 시위는 턱의 위치까지 당깁니다. 양궁의 경우 안전장치, 회전비행보정기, 조준기, 무게조절기 등의 인위적인 보조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명줄률을 높입니다. 국궁의 과녁 규격은 6자 6치(2m).. 지식상식 2023. 6. 10. 결재 상신 뜻 '결재'를 '상신'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결재 상신은 어떤 뜻일까요? 결재 상신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나 관청에게 안건을 승인받기 위해 결재 서류(계획서, 기안서, 품의서 등) 따위를 보고하거나 올리는 일을 뜻합니다. 한마디로 말해 '상관에게 결재 서류를 올림'을 뜻하는 말입니다. ① 결재(決裁)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 ② 상신(上申) 윗사람이나 관청 등에 일에 대한 의견이나 사정 따위를 말이나 글로 보고함. ③ 결재 상신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나 관청에게 안건을 승인받기 위해 결재 서류를 올리는 일. (예) 결재를 상신하였다. (예) 빨리 결재 상신을 하자. (예) 오늘 중으로 결재 상신을 하.. 지식상식 2023. 5.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