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깡의 뜻 쿠사리 우리말 우리는 일상에서 일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매우 싫어하지만,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일본어를 사용하곤 합니다. 아주 흔히 쓰게 되는 일본어 중에는 '땡깡'과 '쿠사리'가 있는데요, '땡깡의 뜻, 쿠사리의 뜻'과 함께 순수 우리말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생떼를 쓴다는 의미입니다. 즉, 억지로 떼를 쓰는 것을 뜻하는데요, 땡깡은 일본어 이므로 우리가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순수한 우리말로는 '생떼'이므로, '땡깡 부린다' 가 아니고 '생떼 부린다' '생때 쓴다' 등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더구나 일본어인 '땡깡(뗑깡)'은 일본에서는 간질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아마 간질 발작이 일어나서 괴이한 행동을 하는 것이 우리가 생떼쓰는 것과 비슷해서 생떼를 부리는 경우를 '땡깡'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는데요, 잘못.. 지식상식 2017. 8. 8. 만땅 뜻 주유소에 가면 아직도 "만땅 넣어주세요" "만땅 채워주세요"라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만땅 뜻은 '(기름 등을)가득 채우다'라는 의미인데요, 일본에서 들어온 말이므로 우리나라 사람이 사용해서는 안될 말입니다. 사실 웬만한 사람들은 '만땅'이 일본어라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 중에 사용하게 됩니다. 그럼 '만땅'이라는 말에 대해 아래와 같이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만땅 뜻> 1. 뜻(의미) '(주로 기름 등을) 가득 채우다 또는 가득 넣다'라는 뜻입니다. 2. 어원 일본에서 들어온 말로 한자 '만(滿)과 영어 '탱크(tank)가 결합돼 만들어진 말로서 '가득 채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주로 기름을 넣을 때 '가득 채우다'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땅'의 순.. 지식상식 2017. 7. 27. 청상과부 홍상과부 과부도 종류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부르는 보통 과부, 청상과부, 생과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과부란 남편이 죽어 홀로 지내는 여자를 뜻합니다. 이와 반대로 아내가 죽어 홀로 지내는 남자를 '홀아비'라고 부릅니다. 과부가 된 여자를 높여서 부를 때는 과부댁이나 과수댁으로 부르며, 이 중에서 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고 홀로 사는 여자를 '청상과부'라고 부릅니다. 간혹 청상과부 홍상과부라는 말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청상과부는 있어도 홍상과부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 과부에 관한 단어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과부라고 부르는 경우로 40대 이후에 남편이 죽어서 혼자사는 여자를 부르는 말입니다. 이 경우 대부분 성장한 자녀들이 있어 자녀에게 의지하면서 자녀만 바.. 지식상식 2017. 7. 22. 하늬바람 높새바람 뜻 바람은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있습니다. 그 중 '하늬바람 높새바람'은 우리가 매우 자주 사용하는 바람의 이름 중에 하나인데요, 하늬바람과 높새바람 뜻은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하늬바람뜻 서쪽에서 불어오는 서늘한 바람. 즉, 서풍을 뜻하는 말입니다. (주로 농촌이나 어촌에서 서풍을 뜻할 때 쓰는 말로 어촌 뱃사람들은 서쪽을 하늬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서풍을 하늬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하늬의 어원은 '한의(寒意)' 또는 '하늘'로 보고 있는데, 정확한 어원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어국립원도 하늬는 서쪽을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라는 것만 명백 하게 인정하고 있습니다. 간혹 '하니바람'으로 적는 경우가 있는데, 한글맞춤법 제3장 제4절 제9항에서는 '의’나.. 지식상식 2017. 7. 13. 유레카 뜻 및 유래 아르키메데스는 목욕하려고 욕조에 들어갔다가 물이 넘치자 '유레카'라고 외쳤는데, 유레카는 무슨 뜻일까요? 유레카 뜻과 함께 유레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유레카는 영어로는 eureka로 적으며, 무언가를 알아내고 그 기쁨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하는 말인데요, 그 뜻과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대 그리스 과학자 아르키메데스(Archimedes)가 목욕을 하려다가 물체의 밀도를 재는 방법을 발견하자 기뻐하며 외친 말로 그 뜻은 '알았다, 깨닭았다, 바로 이거야' 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유레카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의 '찾다'라는 단어인데, '아르키메데스'가 욕조에 들어가면서 물이 넘치는 것을 보고 외친 것이 이 단어를 사용하게 된 기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고대 그리스 '시라쿠사'의 왕 히에론 2세는 금.. 지식상식 2017. 6. 16. 영전 뜻 (영전이란) 직장에서 좋은 자리로 옮기면 영전을 축하한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영전 뜻은 무엇일까요? 간혹 영전과 승진이 헷갈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영전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선 영전과 승진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영전이란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전이란 직급이나 계급이 올라가지는 않았지만 종전보다 더 높은 자리나 더 좋은 보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승진은 진급해서 직급이나 계급이 올라가는 것이지만, 영전은 직급이나 계급의 변동없이 더 높은 자리나 좋은 자리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힘있는 자리 또는 꿀보직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영전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같은 계급(직급)이라도 지사의 차장이.. 지식상식 2017. 6. 14. 머저리 등신 뜻 사람이 어리숙하면 앝잡아 보고 흔히 머저리 또는 등신 같다고 하는데, 머저리와 등신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살면서 한번쯤은 '등신과 머저리'라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을 겁니다. 정말 열받지요? 사람을 만만하게 보는 것 같아 매우 기분이 나쁠 겁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두 단어의 뜻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머저리 뜻 하는 짓이나 말이 얼뜨며 어리석고 둔한 사람을 얕잡아 부르는 말입니다. 이 단어의 품사는 명사입니다. 비슷한 말로는 바보, 맹꽁이, 어리보기, 머저리 등이 있습니다. 2. 머저리 예문 ① 친구가 나를 머저리라고 놀려 결국 싸움을 하고 말았다. ② 그렇게 공부를 못하니 머저리라는 소리를 듣지. ③ 머저리같은 행동은 하지마라. ④ 너무 어리석게 굴면 머저리라는 별명을 얻으니 .. 지식상식 2017. 5. 26.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