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의 중국말 그리고 순우리말 짜장 뜻 우리말에도 짜장이란 말이 있습니다. 순우리말 짜장 뜻 그리고 짜장의 중국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순우리말에도 짜장이란 단어가 있다는 사실이 조금은 신기하게 느껴지는데요, 우리는 '짜장'은 짜장면을 부르는 짜장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말이라고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짜장의 중국말은 짜장이 아니며, 짜장은 오히려 순우리말이라는 사실이 우리를 더욱 더 놀라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말 짜장의 뜻은 무엇인지, 짜장면할 때 짜장은 중국에서 어떻게 부르는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았습니다. 짜장의 중국말은 작장(炸醬)입니다. 작장을 우리는 자장(Zhajiang)이라 불렀고 이 발음이 변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짜장이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중국 에는 짜장이라는 단어는 없는 것입니다. 순우리말 짜장의.. 지식상식 2016. 10. 17. 지진전조현상 가스냄새 ? 기상청은 지진전조현상은 없으므로, 지진 전조현상은 가스냄새라는 등 근거없는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지진은 예측할 수 있는 자연 현상이 아니며, 전조현상 또한 없다고 밝혔습니다.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경 규모 5.1, 5.8 지진이 연이어 발생한 사실과 관련하여 2016년 7월말 부산과 울산에서 발생한 의문의 가스냄새가 지진 전조 현상이라고 SNS에 떠돌았습니다. 하지만 근거없는 유언비어에 불과하다는 것이 학계 및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 입니다. 매년 수많은 지진이 발생하는 일본의 지진당국과 과학자들도 지진을 예측하지는 못합니다. 현대과학은 아직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조만간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거나 기상청이 지진을 .. 지식상식 2016. 9. 19. 정종 청주 차이 청주는 명절 차례상에 이용하는 술인데요, 정종과 청주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정종 청주 차이는 술을 만든 나라가 서로 다르다는 것입니다. 즉 술의 종류와 주성분은 동일하지만 술을 제조하는 나라와 상표명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국어사전이나 네이버 어학사전에는 정종을 일본식으로 빚어 만든 맑은 술이며, 일본 상품명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정종(正宗)은 일본의 전국시대 사람인 다테 마사무네 가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일본 청주회사가 만든 술의 상표명이라고 합니다. 또 네이버 어학사전은 청주를 다 익은 술에 용수를 박고 떠낸 술로써 일본식 으로 빚어 만든 맑은술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비록 일본식으로 만든 술이 지만 우리나라에서 만들었다면 청주라고 표현해야 한다는 의미가 새겨져 있는 것입니다. .. 지식상식 2016. 9. 3. 부조금 부의금 조의금 축의금 뜻 부의금 분배 상식 서로 돕기 위해 우리는 부조를 하는데요, 부조금 부의금 조의금 축의금 뜻을 살펴 보겠습니다. 부조에는 부의금 (조의금)과 축의금이 있으며, 부의금 (조의금)은 초상이 났을 때 내며, 축의금은 결혼 등을 축하하기 위해 내게 되는데, 자세한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부조금 죽음을 슬퍼하거나, 결혼을 축하하거나, 돌잔치나 환갑 회갑 등을 축하하기 위해 일정금액을 댓가없이 내는 것을 의미하며, 부의금(조의금)과 축의금이 있습니다. 2. 부의금(조의금) 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상을 당한 사람에게 주는 돈을 말합니다. 부의금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공동상속인들이 각자의 상속분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3. 축의금 남의 결혼이나 돌잔치나 환갑잔치나 회갑잔치를 축하하기 위해 당사자에게 주는 돈을 말.. 지식상식 2016. 9. 1. 고구마 사이다 뜻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는 고구마와 사이다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고구마 뜻입니다. 고구마는 답답하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고구마는 먹다보면 목이 잘 메여 가슴이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답답한 상황이 벌어 지면 답답하다는 의미로 '고구마'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럼 사이다 뜻은 뭘까요? 고구마처럼 답답한 상황이 시원하게 해결됐다는 의미 입니다. 즉 속 시원한 말을 듣거나, 답답한 상황이 시원스럽게 해결되었다는 의미 인 것이지요. 속이 더부룩할 때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를 마시면 속이 뻥 뚫리고 시원한 느낌이 오는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고구마는 조선 후기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고구마는 물을 먹지 않고 먹으면 목에 걸리거나 식도에 걸려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그래서 답답하다.. 지식상식 2016. 8. 23. 빼박캔트 뜻 젊은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 빼박캔트 뜻은 빼도 박도 못한다는 말로 특정한 상황으로 인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신조어입니다. 빼박캔트는 우리말과 영어를 합친 말인데 단어를 풀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빼박'은 "빼도 박도'를 줄인 말이며, '캔트'는 영어 can't입니다. 영어 can't (can not)는 ~~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예문을 몇가지 살펴볼까요? "우리는 이미 그 일에 너무 깊숙히 관여해서 이젠 빼박캔트다." (우리는 이미 그 일에 너무 깊숙이 관여해서 이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니 그 일에서 빠져 나오긴 어렵다) "넌 회식하면 도망다녔지만 내일은 너를 위한 회식자리이니 완전 빼박캔트다!" (넌 회식하면 도망다녔지만, 내일은 너를 위한 회식자리이니.. 지식상식 2016. 8. 22. 파업 뜻 단체행동(쟁의행위)의 일환인 파업 뜻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파업은 근로자들이 근로조건 향상을 위해 일제히 하던 일을 멈추는 것으로, 노동조합 단체 행동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업주에 대항하기 위해 생산라인을 중단 시키고 작업을 거부하므로 사업주(회사)는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됩니다. 파업이라면 무질서, 불법, 혼란을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에 포함되어 있어 법으로 보장되는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파업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법적 권리를 행사하고 있는 것이므로 무조건 비난하기보다는 먼저 그들의 주장에 귀를 기울이고 존중 해주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사용자들(회사) 또한 이에 대응하여 직장폐쇄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노사 교섭과정에서 갈등으로 인해 일.. 지식상식 2016. 8. 17.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