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뜻 도둑이 오히려 매를 든다는 말을 들어 보셨습니까? 도둑이 남의 집에 훔치려고 들어갔다가 주인에게 들키니 오히려 몽둥이를 들고 주인에게 덤벼든다는 뜻으로, 이런 경우를 사자성어로 '적반하장'이라고 하는데요, '적반하장'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도둑이 오히려 매를 든다'는 말로,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아무런 잘못도 없는 사람을 도리어 꾸짖는다'는 뜻입니다. 즉, 자신이 잘못을 저질러 놓고도 죄없는 사람을 야단치면서 꾸중한다는 의미입니다. 우리 속담의 '방귀 뀐 놈이 성낸다'와 비슷한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럼 적반하장도 유분수지의 뜻은 무엇일까요?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유분수지'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유분수지는 '유분수이지'라는 말의 준말입니다. 여기서 '.. 지식상식 2017. 12. 6. 데모 뜻 주로 어떤 현안사항을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의사표시를 하면서 집회나 행진을 하는 경우를 우리는 '데모(demo)'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데모'라는 용어는 과거부터 부정적인 느낌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데모는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럼 데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데모 뜻 한마디로 '시위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의사표시(어떤 주장이나 뜻)를 관절시키기 위해 모여서 집회나 행진을 하면서 위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금은 이 용어를 '시위'로 순화해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 용어로도 사용되는데요,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의 성능을 보여주기 위한 시험용 프로그램 등을 데모 라고 말합니다. 한편.. 지식상식 2017. 11. 26. 악마의 목구멍이라 불리는 폭포 이과수 폭포 상식 이과수 폭포는 악마의 목구멍이라 불리는 폭포입니다. 이과수 폭포는 왜 악마의 목구멍이라고 불리는 것일까요? 이과수(이구아수) 폭포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에 있는 U자형 폭포이며, 폭포로서는 세계 최고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 폭포는 270여개의 폭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떨어지는 물의 높낮이인 낙차는 평균 60m이지만, 가장 높은 곳은 100m에 이르기도 합니다. 이과수(이구아수)라는 말은 원주민 과라니족의 언어로서 '큰 물' 혹은 '거대한 물'이라는 뜻입니다. 아르헨티나 쪽에서 보면 아기자기한 폭포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브라질 쪽에서 보면 낙폭이 크고 장대한 폭포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 폭포들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곳은 '악마의 목구멍'이라고 불리는 폭포입니다. 악마의 목구멍으로 불리는.. 지식상식 2017. 11. 20. 셰익스피어 4대비극 및 작품 줄거리 셰익스피어(1564~1616년)는 1564년 잉글랜드(영국) 중부에서 태어나 1590년~1613년까지 극작가로 활동하며 37편의 작품을 발표했는데요, 그의 작품 중 셰익스피어 4대비극으로 유명한 작품은 무엇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영국 역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극, 낭만 희극, 비극 등 여러 분야에 걸쳐져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4대 비극이 가장 유명합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햄릿' '오셀로' '리어왕' '맥베스'를 4대 비극 이라고 합니다. '비극'은 작품의 결말이 불행하게 끝나는 희곡을 말합니다. 4대 비극의 경우 모두 인간의 욕심과 악한 마음으로 주인공들이 죽음에 이르게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4대 비극의 줄거리는 어떤 내용인지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식상식 2017. 11. 13. 얼음이 손에 붙는 이유 뭘까 얼음을 맨손으로 잡거나 얼음에 손이 닿았을 때 쩍 달라붙는 경험은 누구나 다 하셨을 겁니다. 냉동된 얼음 뿐만 아니라 냉동된 그릇 역시 맨손이나 혀, 살갖 등이 닿으면 달라붙게 되는데요, 얼음이 손에 붙는 이유는 뭘까요? 이유는 너무나 간단합니다. 손가락 끝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한 수분이 얼음면과 맞닿아 일시적으로 얼면서 얼음표면에 붙어버리기 때문에 손이 얼음에 쩍 달라붙는 것입니다. 즉, 손에 있는 땀(수분)이 차가운 얼음에 닿으면서 순간적으로 얼어 얼음과 붙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혀나 살갖에도 수분이 있기 때문에 손뿐만 아니라 혀나 살갖에 있는 수분이 얼음면과 맞닿는 경우도 혀나 살갖이 얼음면에 척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냉장고의 온도는 매우 낮아서 냉동실에서 꺼내는 얼음이나 그릇의 경우 영하 수십도.. 지식상식 2017. 10. 27. 버러지 뜻 다시 한번 확인해볼까요 사람이 사람답지 못한 행동을 하거나 양심을 저버리고 범죄를 저질러 지탄의 대상이 되면 간혹 비하하여 '버러지'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무리 잘못한 사람일이지라도 '버러지'라는 말은 사람에게 하면 안됩니다. 버러지는 바로 벌레를 뜻하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버러지'는 '벌레'와 같은 말입니다. 즉, 벌레가 '버러지'이고 '버러지'가 곧 벌레입니다. 표준어규정 제3장 제5절 제26항은 '벌레'와 '버러지'를 복수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벌레를 표현하는 단어 중에는 '버러지' 외에도 '벌거지'와 '벌러지'가 있는데, 이 두 단어는 비표준어로서 잘못된 표현이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벌레/버러지 O) (벌거지/벌러지 X) 저도 어릴 때는 벌레를 주로 '버러지'라고 표현했는데, 표준어가 맞으므로.. 지식상식 2017. 10. 24. 유화제란 무엇인가 아이스크림을 더 부드럽게 해주기 위해 유화제라는 첨가물을 넣는데, 유화제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유화제란 물과 기름처럼 잘 섞이지 않는 두 종류의 물질을 섞이게 해주는 식품 첨가물입니다. 따라서 유화제는 원료 배합 과정에서 유지방이 다른 재료들과 잘 섞이게 하고 식감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유화제로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등이 있습니다. ① 빵의 탄력을 높이고 부드럽게 해줍니다. ② 유제품 및 생크림의 응집력을 좋게 하고, 부피감을 유지시켜 줍니다. ③ 초콜릿, 케러멜의 광택과 감촉을 좋게 해줍니다. 국내에서 사용 중인 유화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사용의 필요성, 안전성을 평가하여 허용된 안전한 식품 첨가물입니다. 또.. 지식상식 2017. 10. 16.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