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에이즈 전파할까 모기는 작은 흡혈귀이므로 에이즈를 옮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는데요, 과연 모기가 에이즈를 옮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기를 비롯한 곤충들이 에이즈를 옮긴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모기 에이즈 전파' 염려는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에이즈 환자가 많고 모기가 많은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모기가 에이즈를 옮긴 경우는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실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기에 물려 에이즈에 걸린 환자가 없다는 것은 곤충에 의해 에이즈에 전염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모기와 같은 곤충들이 사람을 무는 행동에 대한 실험 및 관찰 결과에 따르면 모기나 곤충들이 사람을 무는 경우 곤충들.. 지식상식 2017. 10. 15. 귀하 귀중 차이 주로 편지나 우편을 보낼 때 상대를 높여 예우하는 말로 귀하와 귀중이 있는데요, 귀하 귀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또 각각의 사용 방법은 무엇일까요? 아래와 같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귀하는 주로 편지를 비롯한 우편 등에서 상대방을 높여서 이름 다음에 붙여 사용하는 호징이며, 귀중은 편지나 우편 등에서 단체나 기관(회사)을 높여 단체나 기관(회사)의 명칭 다음에 붙여 사용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상대가 개인일 때는 귀하를 사용하며, 상대가 단체나 기관(회사)일 때는 귀중을 사용하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단체나 회사 등에 우편을 보낼 때는 '귀하'나 '귀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사용할 수도 있는데요, 즉 회사명만 사용할 경우는 회사명 뒤에 '귀중'을 붙이면 되고, 대표자의 이름을 선택.. 지식상식 2017. 10. 9. 주식 액면분할이란 액면분할 장단점 주가가 과도하게 높아 주식거래가 부진할 경우 기업은 주식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거래의 활성화를 꾀하게 되는데요, 주식 액면분할 이란 어떤 것인지 아래와 같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액면분할은 말 그대로 주식의 액면가액을 일정하게 분할하여 주식의 수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액면가액 5천원짜리 1주를 둘로 나누어 2,500원짜리 2주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주식을 나누어 주식 수를 늘려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액면가액 5천원 주식이 주식시장에서 2만원에 거래될 경우 그 주식을 액면가액 2,500원인 주식으로 액면분할하면 그 주식의 시가는 주식시장에서도 1만원으로 떨어질 뿐 주주 입장에서는 아무런 이득이 생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지식상식 2017. 10. 6. 원동기장치 자전거란 무엇인가 흔히 이륜자동차를 오토바이라고 하는데, 원동기장치 자전거와 이륜자동차는 같은 것일까요? 원동기장치 자전거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또 원동기장치 자전거는 어떤 먼허가 있어야 운전이 가능한지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원동기장치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배기량이 125CC 이하인 이륜차(오토바이)를 말합니다. 또 배기량이 125CC를 초과하는 이륜차(오토바이)는 도로교통법상 이륜자동차라고 합니다. 그리고 배기량이 50CC 이하인 2륜차와 4륜차는 도로교통법상 '원동기를 단 차'로 구분합니다. 따라서 원동기장치 자전거는 배기량이 125CC 이하인 이륜차(오토바이)이며, 배기량이 50CC 미만인 2륜차(오토바이)와 4륜차는 '원동기를 단 차'이며, 배기량 125CC를 초과하는 이륜차(오토바이)는 '이륜자동차'인 것.. 지식상식 2017. 9. 29. 폐하 전하 저하 합하 각하 뜻 설명 사극에서 보면 임금을 부르는 말로 폐하와 전하가 있으며, 장차 임금이 될 사람을 부르는 말로 저하가 있는데, 폐하 전하 저하 합하 각하는 무슨 뜻인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폐하 폐하(陛下)의 '폐'자는 섬돌(돌계단)을 말하므로 '폐하'는 '섬돌 아래'라는 말로 섬돌 아래에서 뵐 분을 의미하여 임금(황제)을 부르는 존칭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초까지만 해도 임금에게 '황제'라는 존칭을 사용했지만, 고려 후기에 와서 사대주의자들이 중국보다 한 단계 낮은 존칭을 쓰자고 하여 임금을 부를 때 '폐하' 대신 '전하'라는 존칭을 사용하여 왔습니다. 2. 전하 전하(殿下)의 '전'자는 임금이 정사를 보는 큰집을 말하므로, '전하'는 '큰집 아래' 라는 말로 큰집 아래에서 뵐 분을 의미하여 임금을 부.. 지식상식 2017. 9. 24. 낙수효과란 무엇인가 물통에 물이 차면 결국 넘쳐 흘러 바닥을 적시게 되는 것처럼 대기업과 부유층이 정부로부터 더 많은 혜택을 받아 더 부유해지면 그 부유함이 넘쳐서 중소기업과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이론이 '트리클다운(Trickle Down) 효과'입니다. 이 이론을 우리 말로 하면 '낙수효과'라고 하는데요, 낙수효과란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물통에 물이 차면 넘쳐 흘러서 바닥을 적시는 것처럼, 정부가 대기업과 부유층에 투자를 늘려 더 부유하게 만들어주면 그 부유함이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도 골고루 돌아가 결국 경기가 활성화되고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의 복지가 향상된 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을 다른 말로 '적하효과'라고도 합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분수효과(Fountain Effect)'.. 지식상식 2017. 9. 5. 갑절 곱절 차이 월세를 두 배로 올려달라고 하면 "갑절로 올려 달라고 한다"라고 말하거나 "곱절로 올려 달라고 한다"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요, '갑절 곱절'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두 단어는 그 뜻이 동일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쓰임새의 범위가 다르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더 자세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갑절은 어떤 수량을 두 번 합친다는 뜻으로 2 배라는 의미만 가지고 있지만, 곱절은 같은 수량을 몇 번이고 합친다는 뜻으로 세 곱절, 네 곱절, 다섯 곱절 등과 같이 수량이나 분량을 몇번이고 거듭 합치는 단위로 사용된다는 것이 그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갑절은 딱 2 배라는 뜻만 있지만, 곱절은 2 배라는 의미로 사용되면서도 몇 배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는 것입니.. 지식상식 2017. 8. 1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