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 실형 차이 간략 설명 "검사는 상해죄로 기소된 H씨에게 징역 4년을 구형했고, 법원(판사)은 H씨에게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하면서 법정 구속했다" 위 문장에서 '구형'과 '실형'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요, 구형 실형 차이는 무엇일까요? 구형과 실형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검사가 판사에게 피고인의 형량을 요구하는 것은 구형이고 판사가 선고하는 형량이 실형입니다. 통상적으로 검사의 구형은 판사가 선고하는 실형보다 형량이 더 셉니다. 검사가 징역 6년을 구형했더라도 판사는 구형보다 낮은 징역 3년을 선고하는 것이 바로 실형이고 징역 3년에 집행유예를 붙이면 바로 선고형이 되는 것입니다. 통상적으로 검사의 구형이 판사의 실형보다도 형량이 더 세지만, 간혹 검사의 구형보다 판사가 선고하는 실형이 더 센 경우도 .. 지식상식 2019. 5. 31. 호갱 뜻 알아봐요 저는 아무래도 호갱인가봐요. 남들은 물건을 살 때 물건값을 깎으려고 애쓰는데 저는 매번 바가지를 써 같은 물건을 사더라도 남들보다 더 비싸게 사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저같은 사람을 호갱이라고 하더군요! 도대체 호갱 뜻은 무엇이길래? 아래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멍청하거나 어수룩해 이용하기 좋은 손님을 뜻하는 말입니다. 호갱은 '호구'와 '고객'을 합성하여 만든 신조어입니다. 어수룩하고 멍청해 바가지 씌우기 좋은 손님을 뜻하는 말이므로 호갱 소리를 들으면 기분이 상당히 불쾌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미 여러 가게에서 호갱으로 인식되어 있더군요. 어떤 물건을 사더라도 바가지를 쓰지 않은 적이 없으니 당연히 호갱 소리를 듣고 있는 것입니다. 호갱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이 일시금으로 물건을 구입할.. 지식상식 2019. 5. 7. 연륜 뜻 간략 설명 살아오면서 경험으로 축적된 인생의 연륜이나 전문적인 분야에서 노력으로 축적된 연륜은 더 나은 삶을 살아가거나, 더 나은 성과를 거두는데 꼭 필요한 사항입니다. 그런데 연륜 뜻은 무엇일까요? 연륜의 뜻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 해 동안의 노력이나 경험이 쌓여 숙련된 경지에 이른 상태 또는 그러한 노력이나 경험이 진행되거나 소요된 세월을 뜻하는 말입니다. 또한 나이의 높임말 또는 나무의 나이테나 오래된 나무의 나이를 뜻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원래 연륜은 나무의 나이테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그 의미가 확장되어 오늘날에는 오랜 세월 동안의 노력이나 경험 등이 쌓여 숙련된 경지에 이른 상태를 뜻하는 말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나무의 나이테는 한 해에 한 개씩 생기므.. 지식상식 2019. 2. 28. 별세 뜻 알아봐요 별세의 뜻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람이 죽었을 때 '별세하셨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별세는 사람의 죽음(사망)을 높여 부르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언론에서는 유명인이 죽었을 때 '사망했다' 혹은 '별세했다'라고 표현하곤 하는데, 왜 누구는 '사망'이란 단어를 쓰고 또 다른 누구에게는 '별세'라는 단어를 쓰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람의 죽음(사망)을 높여 부르는 말로, 주로 윗사람이 죽어서 세상을 떠났음을 뜻하는 말입니다. 원래 별세는 자신과 관련된 윗사람의 '죽음(사망)'을 높여 표현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부모님이나 선생님, 친척 어르신, 직장 상사 등이 사망했을 경우 '돌아가셨다' 혹은 '별세하셨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단, 직장 상사의 경우는 50대 중반 이하로 비교.. 지식상식 2019. 2. 22. 쪼다 뜻 및 어원 간략 설명 우리는 사람이 좀 어리석거나 모자라서 제구실을 못할 때 흔히 '쪼다'같다고 말하는데, 실제로 어릴 적에 '쪼다'라고 놀림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도대체 쪼다의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요? 쪼다의 뜻과 쪼다의 어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주로 두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요, 첫번째는 '사람이나 동물이 뽀족한 것을 이용해 어떤 것을 찍다'는 의미이고, 두번째는 '좀 어리석거나 모자라서 제구실을 못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흔히 우리가 '쪼다 같다' '쪼다야'라고 표현할 때는 어리석거나 모자라서 제구실을 못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사실 쪼다 같은 사람은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나 이권을 제대로 챙기지 못해 이리저리 손해를 보게 되거나, 마음이 약해 남들에게 휘둘.. 지식상식 2019. 1. 21. 대법원장 임기 권한 정년 등 상식 사법부의 최상급기관인 대법원의 수장은 바로 대법원장입니다. 대법원장은 대법관을 제외한 법관을 임명하며, 대법원을 비롯한 각급 법원의 사법행정 사무와 관련해 직원을 총괄 지위·감독하는데요, 대법원장의 임기는 몇년인지 그리고 대법원장의 권한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대법원장의 임기는 6년입니다. 대법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며, 임기는 6년이고 중임할 수 없습니다 (헌법 104조·106조). 대법원장의 자격은 20년 이상의 법조 경력을 가진 45세 이상인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대법관의 임기도 6년입니다. (대법관은 연임할 수 있음) 대법원장의 정년은 70세입니다. 따라서 대법원장이 70세에 해당된다면 잔여 임기가 남아있어도 당연 퇴직하게 됩니다. 참고로 대법.. 지식상식 2018. 12. 28. 한국 금보유량 상식 우리나라는 금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을까요? 금은 화폐에 버금가는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금값이 내려가고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금값이 올라가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금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을까요? 한국 금보유량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금보유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은 2016년도를 기준으로 104.4톤의 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33위에 해당되는 순위입니다. 세계에서 금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미국인데, 2016년 기준 미국의 금보유량은 8,133.5톤입니다. 2016년도 9월 기준 세계금위원회 제공 자료에 의하면 각국의 금보유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1위 미국 : 8,133.5톤 / 2위 독일 : 3,378.2톤 3위 IMF : 2,814... 지식상식 2018. 12. 2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