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의 뜻 알아봐요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나 카페 혹은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 포스팅을 하는데요, 도대체 포스팅의 뜻은 무엇일까요? 포스팅의 뜻은 정확하게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인터넷상에서 글을 게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포스팅은 영어 posting에서 나온 말로 블로그나 카페,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 글이나, 사진, 영상 등을 이름이나 번호를 붙여 게시하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영어 포스팅(posting)은 인터넷 토론방에 올리는 글을 뜻하므로, 블로그나 카페,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 글이나 사진, 영상 등을 올리는 행위를 포스팅이라고 부르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도 지금 포스팅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있는데요, 바로 포스팅을 하고 있는 것이지요. 요즘은 많은 분들이 블.. 지식상식 2018. 12. 14. 시크하다 뜻 알아봐요 '시크하다'는 한때 그 의미가 차갑다, 냉정하다, 도도하다 등으로 쓰인 적도 있었습니다. 아마도 그 의미가 잘못 전달되어 그런 현상이 생긴 것 같은데요 '시크하다'는 '차갑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럼 시크하다 뜻은 무엇일까요? 함께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시크하다의 뜻은 '세련되고 멋지다'는 말로 주로 지적이고 도시적인 이미지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시크하다'는 영어 시크(chic)에서 나온 말로 그 뜻은 '멋진, 맵시있는, 세련된' 등입니다. 따라서 '시크하다'는 '차갑거나 냉정하다'는 뜻이 아니라 '세련되고 멋지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왜 '시크하다'가 '차갑다' '냉정하다' 등의 의미로 인식되었을까요? 아마도 '시크하다'가 '냉소적인'이라는 의미를 지닌 영어 단어인 '시니컬 (cynical)'에.. 지식상식 2018. 12. 10. 사명 뜻 간략 설명 누구나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맡은 바 임무나 책임을 완수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사명감'은 누구나 잘 아시다시피 주어진 일을 제대로 하려는 마음이나 자세를 뜻합니다. 그런데 '사명'은 어떤 뜻일까요? 사명 뜻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사명(使命) ① 개인 또는 여러 사람들에게 주어지거나 맡겨진 임무 (예) 나는 기울어진 집안을 일으키는 것을 사명으로 알고 있다. (예) 우리에게 어떤 사명이 주어지더라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예) 우리 모두는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는 사명을 지니고 있다. (예)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국가를 짊어지고 가야 할 사명을 지니고 있다. (예) 지금 우리의 사명은 쓰러져 가는 회사를 살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② 사신이나 사절에게 주어진 명령 (예) 이번 사절단은 .. 지식상식 2018. 12. 6. 명태 이름 종류 및 유래 황태 명태 생태 동태 구분 같은 생선임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이름이 많은 생선이 바로 명태입니다. 그런데 왜 명태는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릴까요? 명태는 주로 황태 명태 생태 동태 등으로 불리는데, 그 이유와 명태 유래는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명태 명태라는 생선의 기본 이름입니다. 2. 생태 갓 잡혀서 싱싱한 상태의 명태를 부르는 말입니다. 3. 동태 얼어있는 상태의 명태를 부르는 말입니다. 4. 코다리 반쯤 말린 명태를 부르는 말입니다. 5. 노가리 명태의 새끼를 부르는 말입니다. 6. 북어 바짝 말린 명태를 부르는 말입니다. 7. 황태 추운 겨울에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한 명태를 부르는 말입니다. 8. 왕태 명태의 크기가 제일 큰 것을 부르는 말입니다. 9. 애기태 노가리보다 작은 명태의 새끼를 부르는 말입니다.. 지식상식 2018. 12. 4. 빙고 뜻 뭘까 우리는 정답을 맞추거나 생각지도 못한 좋은 결과가 나왔을 때 '빙고!'라고 외치는데, 도대체 빙고 뜻은 무엇일까요? 빙고는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 또는 실내 오락 중 하나의 명칭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기뻐서 외치는 빙고는 기쁨을 나타내는 감탄사인데요, 아래와 같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기쁠 때 외치는 빙고의 뜻은 주로 정답을 맞추거나 생각지도 못한 뜻밖의 좋은 결과가 나왔을 때 기뻐서 외치는 감탄사입니다. 즉, 기쁨을 표현하는 감탄사로서 '옳지, 좋았어, 바로 이거야, 그렇지, 해냈어'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빙고의 어원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으나 '빙고게임'이 잘 되었을 때 '빙고!'라고 외치는데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고,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를 빙고라고 .. 지식상식 2018. 11. 30. 문외하다 문외한 뜻 의미 '문외한'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문외한'이란 어떤 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을 뜻하는 말인데요, 간혹 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경우 '이쪽 분야는 문외하다'라고 '문외하다'를 쓰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문외한'이라는 말은 있어도 '문외하다'라는 말은 애초부터 없습니다. 아마도 '문외한이다'를 잘못 쓴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외한'과 비슷한 말로는 '생무지'가 있는데요, 생무지는 어떤 일에 대해 능숙하지 못하고 서툰 사람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럼 문외한 의미에 대해 아래와 같이 좀 더 살펴 보기로 하겠습니다. 門外漢(문외한)의 본래 뜻은 '문의 바깥 쪽에 있는 사람'입니다. 즉, 어떠한 일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사람을 뜻하는 것인데요, 이 의미가 확.. 지식상식 2018. 11. 28. 이랑 고랑 차이 및 뜻 이랑 고랑은 무엇일까요? 밭에다가 농사를 지을 때 농사를 효율적으로 짓기 위해 밭에다가 이랑도 만들고 고랑도 만들게 되는데요, 이랑 고랑은 정확하게 어떤 것을 뜻하는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고랑이란 갈아 놓은 밭의 두 두둑 사이에 움푹하게 쏙 들어간 부분을 뜻합니다. 여기서 '두둑'이란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나온 흙으로 두두룩하게(불룩한 모양) 쌓아 놓아 곡식을 심는 부분을 뜻합니다. 따라서 고랑은 밭이나 논에 골을 타놓아 길고 움푹하게 쏙 들어간 부분을 뜻하는 말입니다. (예) 고랑으로 빗물이 흘러 밭 일을 할 수 없었다. (예) 여름이 되자 밭 고랑에 잡초가 많아졌다. (예) 오늘은 밭 고랑에 잡초를 제거하려고 한다.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묶어서 한꺼번에 이.. 지식상식 2018. 11. 2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