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천백일 뜻 예문 한자 유래 등 요약 설명 중국 당송팔가문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청천백일은 푸른 하늘에 해가 빛나는 밝은 대낮이라는 말로, 청천백일 뜻은 '하는 일이 깨끗하거나 훌륭한 인물은 세상 사람들이 다 알아 본다는 의미입니다.' 지금은 결백하거나 죄가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흔히 사용됩니다. 청천백일 예문으로는 "저는 청천백일하니 믿어 주시기 바랍니다." "그는 청천백일한 사람인데, 그런 나쁜 일을 했을리가 없다."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청천백일 한자는 靑天白日이며, 개별한자 뜻은 성어속담 2016. 4. 29. 관중 포숙 진정한 우정 관포지교 고사성어 유래가 되어 중국의 사마천이 쓴 역사서 '사기'의 에 관포지교 이야기가 실려있습니다. 관중 포숙은 진정한 우정 으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관중과 포숙은 춘추 시대 제나라에 살았던 실제 인물입니다. 둘은 어릴 때부터 일생을 절친한 친구로 지내왔으나, 어쩔 수 없는 정치적 싸움에 휘말려 서로 적이 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포숙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 관중은 재상 자리에 올라 훌륭한 정치를 펼쳤습니다. 관중이 이처럼 공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 포숙의 믿음과 우정 덕분입니다. 그래서 오늘날까지도 변치 않은 우정을 가리켜 관포지교 라고 합니다. 또한 대나무 말을 함께 타고 놀던 친구를 뜻하는 '죽마고우', 쇠처럼 굳건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을 뜻하는 '금란지교',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아주 친밀한 .. 성어속담 2016. 4. 26. 배중사영 예문 한자 유래 등에 관한 상식 중국 진서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배중사영은 술잔 속에 비친 뱀 그림자란 말로, 쓸데없는 의심으로 고민한다는 뜻입니다. 배중사영 한자는 杯中蛇影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성어속담 2016. 4. 20. 방약무인 미생지신 뜻과 유래 중국 사기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방약무인 그리고 미생지신 뜻과 유래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방약무인 뜻은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말로,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함을 의미합니다. 또 미생지신 뜻은 미생의 믿음이란 말로, 약속을 굳게 지킨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고지식해서 융통성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제 방약무인과 미생지신의 한자와 유래에 대해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방약무인 한자는 傍若無人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이며, 방약무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진나라가 전국 시대를 끝내고 막 천하를 통일할 무렵 이야기입니다. 그 당시 진나라 왕은 정인데, 그가 바로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제입니다. 위나라 사람인 형가는 침착하고 생각이 깊으며, 무예도 아주 뛰어났습니.. 성어속담 2016. 3. 30. 구밀복검 예문 유래 뜻 등에 관한 상식 중국 신당서(新唐書)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구밀복검이란 입안에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말로, 말로는 친한 척하지만 해칠 생각을 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구밀복검 예문으로는 "사기꾼의 구밀복검을 빨리 헤아지리 못해 그 여자는 엄청난 재산을 빼았기도 말았어."를 들 수 있습니다. 구밀복검 한자는 口蜜腹劍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이며, 구밀복검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나라 현종 때 이임보라는 재상이 있었습니다. 그는 그 유명한 장군 안녹산마저 두려워했던 전형 적인 궁중 정치가였습니다. 현종에게 아첨하고, 뇌물로 환관과 후궁들의 환심을 사서 재상이 된 인물입니다. 재상이 되어서는 현종이 양귀비에게 빠져 정사를 멀리한 틈을 타 조정을 제 마음대로 휘둘렀습니다. 바른 말을 하는 충신이나 자신의 권.. 성어속담 2016. 2. 9. 순망치한 뜻 유래 한자 예문 등에 관한 지식 중국 춘추좌씨전에 전해오는 순망치한 뜻은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말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가까운 사이를 의미하는데, 순망치한 유래와 한자 예문 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순망치한 한자는 脣亡齒寒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입니다. 순망치한 예문은 "국가의 경제와 가정 살림은 순망치한과 같아 나라의 경제가 침체되면 가정 살림도 함께 어려워진다." "나의 단골 거래처와 나는 순망치한 격과 같아 내가 좋은 물건을 조달하지 못하면 장사가 안되고 나는 수금을 못한다."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순망치한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춘추시대 진나라 헌공이 괵나라와 우나라를 공격할 때입니다. 먼저 괵나라를 치기로 한 헌공은 우나라 우공에게 귀한 보물을 줄 터이니 길을 열어 달라고 했습니다. 재물을 보면.. 성어속담 2016. 1. 24. 창업수성 시작은 쉽지만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 중국 당서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창업수성은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입니다. 한문으로는 創業守成(창업수성)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입니다. 창업수성 예문으로 "창업수성이라고 했네! 자네가 사업을 시작할 때 가진 마음을 잊어버리지 않기 를 바라네." "그 가게가 개업한지 3개월만에 폐업한 걸 보니 창업수성이란 단어가 새삼 떠올랐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창업수성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나라 말, 혼란기를 틈타 아버지 이연과 군사를 일으킨 이세민은 황제 공제를 폐위하고 당나라를 세웠습니다. 아버지 고조가 죽자 2대 황제에 오른 태종 이세민은 아주 똑똑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변방을 안정시켜 영토를 넓히고, 인재를 널리 등용하고, 학문에 힘쓰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 시키는 데 주.. 성어속담 2016. 1. 14. 이전 1 ··· 16 17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