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와 몸무게로 비만도 측정 키와 몸무게로 비만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요, 키와 몸무게로 비만도를 측정한 수치를 체질량지수(bmi)라고 합니다. 그런데 키와 몸무게로 비만도 측정은 어떻게 할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체중(kg)을 신장(meter)의 제곱으로 나누면 bmi(체질량지수)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키가 172cm이고 몸무게가 70kg이라면 70 ÷ [1.72 × 1.72] = 23.66이므로 체질량지수는 23.66이 됩니다. 만약 키가 165cm이고 몸무게가 75kg이라면 75 ÷ [1.65 × 1.65] = 27.55이므로 체질량지수는 27.55가 되겠지요? ※ BMI(체질량지수) 계산 공식 BMI(체질량지수) = 현재체중(kg)÷ [신장(m)×신장(m)] - 체질량지수 18.5 미만 : 저체중 - 체질량지수 18.5~.. 건강상식 2023. 1. 26. 빈혈 수치 9 10 얼마나 심각할까 빈혈 수치는 혈액 속의 혈색소(헤모글로빈) 수치를 의미하는데요, 빈혈 수치가 9나 10이면 심각한 수치일까요? 빈혈 수치 9와 빈혈 수치 10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핏속에 혈색소(헤모글로빈)가 부족하여 생기는 질환인데요, 말초 혈액 내의 적혈구 숫자가 감소하고 혈색소(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정상 이하로 감소된 상태를 빈혈이라고 합니다. 혈색소가 부족하면 몸속의 각 조직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어지러움과 피로감, 식욕저하, 변비나 설사, 호흡곤란, 가슴두근거림, 손발부종, 창백한 얼굴 등의 증상을 겪게 됩니다. 성인 남자의 경우 정상 빈혈 수치는 13~17(혈색소 농도 13~17g/dl)이며, 성인 여자의 경우 정상 빈혈 수치는 12~16 (혈색소 농도 12~16g/dl)입니다. .. 건강상식 2022. 11. 3. 오줌이 새는 이유 의도치 않게 오줌이 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의도치 않게 오줌이 새는 증상을 요실금이라고 하는데요, 오줌이 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줌이 새는 이유는 여성들이 가장 흔하게 겪는 복압성 요실금이나 방광내 감염 등으로 생기는 절박성 요실금이 있기 때문입니다. 1. 복압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이란 기침이나 재채기, 줄넘기 등 갑작스럽게 복압이 증가할 때 방광의 수축없이 오줌이 누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으로는 출산, 변비, 비만, 요로감염, 다태임신, 이뇨제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전립선 수술이 원인임) 2. 절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이란 오줌이 마려운 순간 강하고 급작스런 요의 때문에 오줌이 누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절박성 요실금의 원인으로는 방광내.. 건강상식 2021. 10. 14. 고압산소치료의 부작용 및 효과 과학과 의술의 발달로 요즘은 고압산소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고압산소치료의 부작용은 없을까요? 고압산소치료의 부작용, 고압산소치료 효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안전한 기계를 통해 일상생활의 대기압(1기압)이 아닌 2~3기압하에서 100% 산소를 인체에 공급해주는 치료법으로, 혈액과 조직내 높은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입니다. 1. 귀 및 부비동 손상 고압 환경에서 압력 평형에 실패할 경우 귀통증, 귀먹먹함, 두통, 현훈, 이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고막천공이나 부비동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발생하면 이비인후과에서 신속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2. 근시 현상 일시적으로 근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수주내에 대부분 정상으로 돌아옵니.. 건강상식 2021. 7. 21. 가슴샘 기능 및 위치 우리 몸에 있는 가슴샘이란 장기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요? 가슴샘 기능과 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슴샘이란 물방울 같은 모양의 노란 회색 장기로 크기가 손목시계 정도인데요, 다른 용어로는 '흉선'이라고 합니다. 유아기의 가슴샘(흉선) 크기는 16g 정도이지만 성장할수록 더 커져 사춘기가 되면 100g 정도로 커지는데요, 이후로는 점차 수축하여 50세가 되면 3분의 1까지 줄어듭니다. 가슴샘(흉선)은 유아기부터 사춘기까지의 여러 질병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가슴샘은 여러가지 질병을 방어하기 위해 T림프구를 만들고 비장이나 림프계를 비롯한 각종 기관의 활동을 자극하는 타이모신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우리 몸에 세균이나 곰팡이균, 이물질 등이 침입할 경우 가슴샘에서 만드는 T림프구에서 몇.. 건강상식 2021. 7. 1. 당뇨약 복용수치 혈당이 높을 경우 당뇨약을 복용해야 하는데요, 당뇨약을 복용해야 하는 혈당 수치는 어떻게 될까요? 당뇨약 복용수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복시 혈당 수치가 126mg/dl 이상이며,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200mg/dl 이상인 경우라면 당뇨에 해당되므로 당뇨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정상적인 혈당 수치는 공복시 측정 수치가 99mg/dl 이하이며, 식후 2시간 직후에 측정 수치가 139mg/dl 이하입니다. 그러나 공복시 혈당 수치가 126mg/dl 이상이며,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200mg/dl 이상으로 측정되면 당뇨에 해당되므로 당뇨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공복 혈당 수치가 100~125mg/dl 구간이며,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140mg/dl 미만인 경우를 공복혈당장애라고 하며, 공복 혈당 .. 건강상식 2021. 5. 1. 고기먹으면 방귀 냄새가 독한 이유 야채를 먹을 경우는 방귀 냄새가 그리 독하지 않은데요, 고기먹으면 방귀 냄새가 유난히 독한 이유는 뭘까요? 고기 먹으면 방귀 냄새가 독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기의 단백질 속에 황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황이 고약한 방귀 냄새를 만드는 주범입니다. 황은 고기류, 우유, 달걀, 생선 등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방귀는 장 속에 찬 불필요한 가스가 몸밖으로 나오는 현상인데요, 우리가 숨을 쉴 때 마신 공기, 밥을 먹을 때 마신 공기, 장 속에 들어온 음식물 찌꺼기가 발효해서 생긴 가스가 합쳐져서 나오게 됩니다. 건강한 젊은 남자가 하루 동안 방귀를 뀌는 횟수는 평균 14회 정도인데요, 최대 25회까지는 정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장 속에서는 하루 평균 500~4,000cc의 가스가 만들.. 건강상식 2021. 2. 4. 이전 1 2 3 4 5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