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여씨춘추에 전해오는 삼년불비우불명 고사성어는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말로,
훗날을 기약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절실한 마음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인내하는 마음
자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문으로는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三 : 석 삼), (年 : 해 년),
(不 : 아닐 불), (飛 : 날 비), (又 : 또 우), 不 : 아닐 불), (鳴 : 울 명)>입니다.
삼년불비우불명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춘추시대 초기, 초나라 장왕은 즉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선언했습니다.
"오늘부터 과인에게 직언하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
이렇게 말한 장왕은 장장 3년 동안 국정을 돌보지 않고 주색에 빠져 지냈습니다. 참다못한 충신 오거는
죽음을 각오하고 간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직언하는 방법이 아니라 우회적으로 간하기로 했습니다.
"신이 수수께끼를 하나 낼까 하는데, 어떻습니까?' "좋소이다."
"저 언덕에 몸집이 큰 새가 한 마리 사는데, 이 새는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이
새는 무슨 새입니까?"
"3년이나 날지 않은 새가 난다면 분명히 하늘에 닿을 것이고, 3년이나 울지 않은 새가 운다면 세상은 놀
랄 것이오. 그대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알았으니 그만 물러가시오."
그리고 나서도 몇 달이 지났으나, 장왕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이번에는 대부 소종이 나섰습니다. 장왕
은 소종을 보자마자 꾸짖었습니다.
"그대는 내 말을 못 알아들은 모양이요?"
"알고 있사옵니다. 그러나 전하께서 국정에 전념한다면, 신은 죽어도 여한이 없사옵니다."
"알았으니 그만 물러가시오."
장왕이 3년 동안 주색을 가까이한 이유는 충신과 간신을 구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장왕은 국정에 임하
자마자 간신과 부패한 관리 수백 명을 몰아내고, 충신은 기꺼이 등용했습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망치한 뜻 유래 한자 예문 등에 관한 지식 (0) | 2016.01.24 |
---|---|
창업수성 시작은 쉽지만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 (0) | 2016.01.14 |
국사무쌍 예문 유래 출전 등 알아보기 (0) | 2015.12.28 |
명경지수 뜻 마음이 가장 고요한 상태 (0) | 2015.12.20 |
과전이하 유래 한자 예문 등 간략 정리 (0) | 2015.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