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먹기에 달렸다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우리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뭘까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四字成語)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자성어(漢字成語)는 존재합니다.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을 가진 한자성어(漢字成語)는 바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입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으로 쓰이는 한자성어(漢字成語)입니다.간혹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일절유심조(一切唯心造)'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한자 '切'이 '끊을 절'이 아니라 '모두 체'로 쓰이므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로 발음해야 합니다. 참고.. 성어속담 2025. 4. 15. 고생끝에 낙이온다 속담뜻 참고하세요 우리나라 속담 중에 '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고생끝에 낙이온다'는 속담은 어떤 뜻을 지니고 있을까요? 고생끝에 낙이온다 속담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는 속담은 '힘들고 어려운 일을 겪은 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이 속담은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속담 중 하나로,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에게 삶의 지혜와 교훈을 전달해왔습니다. 이 속담이 전달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바로 인내와 노력의 중요성입니다. 인생에서는 언제나 어려운 시기가 있을 수 있지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결국에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또 다른 교훈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얻는 성장과 발전입니다. 고생 끝에 낙이 온.. 성어속담 2024. 12. 3.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비슷한 속담 참고하세요 속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마땅이 커야 할 것이 작고 작아야 할 것이 오히려 더 크다'는 뜻으로 쓰이는데요,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와 비슷한 뜻을 지닌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① 몸보다 배꼽이 더 크다.주된 것보다 그에 딸린 것이 오히려 더 크다는 뜻. ② 아이보다 배꼽이 크다.기본이 되는 것보다 부수적인 것이 오히려 더 크다는 뜻. ③ 얼굴보다 코가 더 크다.중요한 것과 그에 따르는 것이 뒤바뀌어 사리에 어긋난다는 뜻. ④ 고추장이 밥보다 많다.주된 것보다 그에 딸린 것이 오히려 더 많다는 뜻. ⑤ 기둥보다 서까래가 더 굵다.주가 되는 것과 그에 따르는 것이 뒤바뀌어 사리에 어긋난다는 뜻. ⑥ 눈보다 동자가 크다.주된 것보다 그에 딸린 것이 오히려 더 크다는.. 성어속담 2024. 11. 5. 믿음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믿음에 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믿음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경사이신(敬事以信)일을 함에 있어 정성과 믿음으로 최선을 다한다는 뜻. 2. 금석맹약(金石盟約)쇠붙이와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이라는 뜻. 3. 금석지약(金石之約)쇠붙이와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이라는 뜻. 4. 금석상약(金石相約)쇠붙이와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이라는 뜻. 5. 금석지교(金石之交)쇠붙이와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우정이라는 뜻. 6. 금석지계(金石之契)쇠붙이와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우정이라는 뜻. 7. 간담상조(肝膽相照)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귄다는 뜻. 8. 교우이신(交友以信)친구를 사귈 때에는 믿음으로 사귀어야 한다는 뜻. 9. 붕우유신(朋友有信)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다는 뜻. 10.. 성어속담 2024. 9. 18. 협력 사자성어 협력에 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협력 사자성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1. 군경절축(群輕折軸)가벼운 것도 많이 모이면 수레의 굴대를 부러뜨리듯이 작은 힘도 뭉치면 큰 힘이 된다는 뜻. 2. 남남협력(南南協力)개발도상국 간에 서로 경제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협력한다는 뜻. 3. 대동단결(大同團結)여러 집단이나 사람이 한 가지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 덩어리로 뭉친다는 뜻. 4. 동심동력(同心同力)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친다는 뜻. 5. 동심동덕(同心同德)서로 같은 마음으로 덕을 함께한다는 말로, 같은 목표를 위해 여럿이 마음을 합쳐 힘쓴다는 뜻. 6. 동심합력(同心合力)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한다는 뜻. 7. 동악상조(同惡相助)악인은 악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돕는 것처럼 동류끼리.. 성어속담 2024. 8. 29. 내눈에 들보 뜻 내눈에 들보 사자성어 '내눈에 들보'라는 말이 있는데요, '내눈에 들보'는 어떤 뜻일까요? 내눈에 들보 뜻, 내눈에 들보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자기 자신의 큰 잘못'이라는 뜻입니다. ① 들보 뜻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을 건너질러 도리와는 'ㄴ' 자 모양, 마룻대와는 '十' 자 모양을 이루는 나무. ② 내눈에 들보 뜻자기 자신의 큰 잘못. '내눈에 들보'라는 말은 성경에 나오는 말입니다. 성경(마태복음 7장 3절)에 '남의 눈의 티끌은 보여도 내눈의 들보는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요, 여기서 '들보'는 '큰 잘못을 뜻하고 '티끌'은 작은 잘못을 뜻합니다. 그래서 '내눈에 들보'는 '자기 자신의 큰 잘못'을 뜻하는 말로 쓰입니다. ① 과이불개(過而不改)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 ② 문과식비(文過飾非.. 성어속담 2024. 6. 2. 손으로 하늘을 가린다 뜻 및 사자성어 '손으로 하늘을 가린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손으로 하늘을 가린다'는 어떤 뜻일까요? 손으로 하늘을 가린다 뜻, 손으로 하늘을 가린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손(손바닥)을 들어 제 눈앞에 있는 하늘을 가린다는 말로, 가린다고 가렸으나 본질은 가려지지 아니한다는 말입니다. 즉, 얕은 수를 써서 잘못을 숨기려고 애를 쓰지만 잘못을 숨길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 (예) 그런 미봉책은 손으로 하늘 가리기다.(예) 그가 아무리 꾀를 부려도 나에게는 손으로 하늘 가리기에 불과하다. 위의 속담은 손(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면 자기 눈에는 하늘이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딱 손바닥만큼의 하늘만 가려졌을 뿐이므로, 문제의 본질은 해결하지 못하고 임시방편으로 일을 처리하거나, 얕은 수를 써서 남을 속이려고 한다는.. 성어속담 2024. 5. 20. 이전 1 2 3 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