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똘히 골똘이 중 올바른 표현은 틀리기 쉬운 낱말 중에 「골똘히 골똘이」가 있습니다. "골똘히 생각하다"와 "골똘이 생각하다" 중 어느 표현이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골똘히'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럼 '골똘히'와 '골똘이' 중 '골똘히'로 적어야 하는 이유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뜻(의미) '다른 생각없이 오직 한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하여'라는 뜻 (품사로는 부사이며 골똘히로 발음함) 2. '골똘이'가 아니고 '골똘히'로 적는 이유 한글맞춤법 제6장 제51항은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하게 '이'로 발음나면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날 수 있는 경우는 '히'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발음이 '히'로만 나기 때문입니다. 골똘하다(0), 골똘아다(×) 3. 히로만 발음되는 경우 극히, 급히, .. 바른용어 2017. 5. 23. 붙여 붙혀 중 바른 표현은 헷갈리는 말 중에 '붙여 붙혀'가 있는데요, "종이를 붙여서 사용하자" "종이를 붙혀서 사용하자" 중에 어느 문장이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종이를 '붙여서' 사용 하자"가 맞는 문장입니다. 왜냐하면 '붙혀'라는 낱말은 원래부터 없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붙여'의 기본형은 '붙이다'이며, '붙히다'라는 단어는 '붙이다'의 잘못된 표현 일 뿐입니다. 그럼 '붙여'의 기본형인 '붙이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자세하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해설 타동사이며 붙여, 붙이니, 붙여서 등으로 변화되어 사용됩니다. 발음은 부쳐, 부치니, 부쳐서, 부치고 등으로 해야 합니다. 2. 뜻(의미) ① 물체 등을 떨어지지 않게 하다. ② 물체 등을 아주 가까이 있게 하다. ③ 물체 등이 서로 닿게 하다. ④ 사람.. 바른용어 2017. 5. 13. 곱배기 곱빼기 중 표준말 어느 것일까 곱절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인 곱배기와 곱빼기는 자주 사용하는 말인데요, '곱배기 곱빼기' 중에 어느 말이 표준말일까요? "음식을 곱배기로 먹었다"와 "음식을 곱빼기로 먹었다" 중에 어떤 문장이 바른 표현일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곱빼기'가 올바른 표현이자 표준말입니다. 그럼 곱빼기에 대해 아래와 같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뜻(의미) ① 두 그릇 분량의 음식을 한 그릇에 담은 상태를 의미함 ② 동일한 일이나 상황을 두번 거듭하거나 겪게 됨을 의미함 2. 곱빼기로 적어야 하는 이유 곱빼기는 '곱'과 '빼기'가 합쳐져 만들어진 명사로서 '곱'은 곱절이라는 의미를 가진 명사이며 '빼기'는 뜻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는 접미사인데 한글맞춤법에 서는 명사에 붙는 접미사를 소리나는대로 적도.. 바른용어 2017. 5. 11. 솔직이 솔직히 중 바른 표현은 헷갈리는 낱말 중에 '솔직이 솔직히'가 있습니다. "솔직이 너를 좋아한다"와 "솔직히 너를 좋아한다"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솔직히'가 맞는 표현입니다. 그럼 '솔직히 솔직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솔직히'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1. 뜻(의미) 조금의 거짓이나 숨김 등이 전혀 없이 바르게 2. '솔직히'로 표현해야 하는 이유 한글맞춤법 제6장 제51항은 부사의 끝음절 발음이 분명하게 '이'로만 나면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 또는 '히'로 나는 경우에는 '히'로 적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형용사를 부사로 사용할 때 어간의 끝 부분이 'ㅅ'받침으로 끝나는 경우는 '이'로 적도록 되어 있는데, '솔직한'의 끝부분은 'ㄱ'.. 바른용어 2017. 5. 10. 허방 헛방 차이 우리는 '허방 헛방'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허방과 헛방은 발음이 비슷해서 같은 뜻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은 전혀 다른 의미입니다. 그럼 허방 헛방 이 두 단어의 차이는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허방과 헛방은 모두 표준말입니다. 1. 뜻(의미) 바닥이 움푹 패이거나 쏙 들어가서 발을 헛디디거나 빠지기 쉬운 곳을 뜻하며 다른 말로 허당이라고도 함. 2. 문장예시 ① 나는 잠시 다른 생각을 하다가 허방에 빠져 다리를 삐고 말았다. ② 장마로 도로가 많이 패였으니 딴 생각하다가 허방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라. 1. 뜻(의미) ① 창고와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방 (자질구레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방) ② 총을 쏘아 맞히지 못하거나, 실탄없이 빈총을 쏘는 것 ③ 뜻대.. 바른용어 2017. 5. 4. 비로서 비로소 구분하기 표현할 때 헷갈리는 말 중에 '비로서 비로소'가 있는데요, 어떤 말이 올바른 표현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비로소'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비로서'라는 말은 '비로소'의 잘못된 표현이기 때문인데요, '비로소와 비로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문법상 '부사'로서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제서야 변화하거나 이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비로소'의 옛말은 '비릇'입니다. '비로소'와 비슷한 말로 마침내, 드디어, 그제야, 이제 서야 등이 있습니다. '비로소'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비로소'라는 단어는 조금만 신경쓰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헷갈려서 '비로서'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하는 단어입니다. ① 여러 차례 설득 끝에 비로소 승낙을 받을 수 있었다. ② 우리는 갖.. 바른용어 2017. 4. 21. 함부러 함부로 중 바른 표현은 아리송한 말 중에 '함부러 함부로'가 있는데요, 어떤 단어가 올바른 표현일까요? 예를 들어 "주정차 금지구역에 함부로 주차하지 말라"와 "주정차 금지구역에 함부러 주차하지 말라" 중에 어느 말이 맞을까요? '함부로'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부사로서, 조심하지 않거나, 분별하지 않거나, 깊이 생각하지 않고 마음내키는 데로 말하거나, 행동하거나, 처신하는 경우를 뜻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마음대로 행동하지 말라는 의미로 사용할 때 '함부로'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사용 예시) ① 선생님 앞에서 함부로 행동하는 학생은 결코 모범생이 될 수 없다. ② 책을 여기저기 함부로 어질러 놓지 마라. ③ 남자가 여자 화장실에 함부로 들어가면 성추행범으로 오해받기 쉽상이다. .. 바른용어 2017. 4. 19. 이전 1 ··· 32 33 34 35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