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지식

걸프전쟁 원인 결과 요약 정리

꼬두암 2016. 4. 23.

1991년 1월 17일 새벽 0시 50분을 기해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하면서 걸프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걸프전쟁 원인은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점령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공군 전폭기(F15E)가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를 공격하면서 걸프전쟁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첨단과학기술과 전자 장비가 동원된 걸프전쟁은 미국이 전자오락게임을 펼치는 것과도 같았습니다.

십자(十)자 표시에 맞추어 투하된 폭탄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지상의 목표물을 명중시키는 것을

텔레비전에서 보고 있는 사람들은 "현대전이 바로 이런 거구나!" 하고 깨닭았습니다.

 

중무장한 육군이 총을 들고 쳐들어가서 적의 지역을 점령하는 전쟁은 원시 시대의 수법처럼 여겨졌

습니다. 미국 전폭기는 사우디아라비아 중부에 위치한 미국 공군 기지에서 발사되어 나갔습니다.

 

전폭기는 주로 폭격 임무를 띤 비행기입니다. F15E 전폭기 2,500대가 차례로 사우디아리비아 중부와

동부 지방에서 떠나 이라크 영토로 향했습니다. 

 

 

<걸프전쟁 원인>

걸프전쟁 원인은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점령했기 때문인데요, 1990년 8월 2일 새벽 3시, 이라크군의

탱크가 쿠웨이트 국경을 침입했으며, 쿠웨이트 왕과 가족은 허둥지둥 사우디아라비아로 피했습니다.

 

이라크군은 전격적인 침공으로 7시간 만에 쉽게 쿠웨이트를 점령할 수 있었는데, 별로 저항이 없는

일방적인 전쟁이었습니다. 그것은 마치 담을 넘어가 남의 집을 차지한 행위나 다름없었습니다. 

 

당시 이라크는 사담 후세인이 독재 정치를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후세인은 국경을 둘러싸고 벌인

이란과의 전쟁에서 많은 돈을 써 버려,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을 건설하자!" 후세인은 이런 주장으로 민심을 샀습니다. 그러면서 후세인은

쿠웨이트 침공 이유를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가 결정한 석유 할당제를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떠들었습니다. 하지만 진짜 속셈은 페르시아 만 입구에 있는 나라인 쿠웨이트를 차지하려는 데 있

었습니다.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점령하자 전세계는 이를 지지하는 나라와 반대하는 나라로 엇갈렸습니다. 

주로 아랍 국가들이 후세인을 지지했고,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응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다국

적군은 미국과 영국이 주축을 이루었습니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이 알려지자 서방측은 사담 후세인을 맹렬히 비난했습니다. "후세인은 잔인

한 독재자요, 전쟁 미치광이이다. 고대 바빌로니아 대제국 건설 어쩌고 하는 것은 아랍인에게 사기

극을 벌이는 행위이다."

 

그렇지만 아랍인들은 후세인을 민족주의의 영웅으로 떠받들었습니다. 더욱이 그가 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대왕이 건설했던 것처럼 대제국을 재건하겠다는 데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리해 미국, 영국, 프랑스, 이집트 등의 다국적군이 이라크를 공격하면서, 걸프전쟁이 시작되었던

것입니다.

 

 

<걸프전쟁 결과>

전쟁은 다국적군의 일방적인 승리로 전개되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선보이는 최신 무기로 인해

'현대 무기 전시장'과도 같았습니다. 

 

토마호크 크루즈 미사일은 발사되면 목표물을 정확하게 파괴했습니다. F117 스텔스 비행기는 레이

더에 잡히지 않고 작전을 수행했으며,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날아오는 스커트 미사일을 공중에서

격침시며 여지없이 부수어 버렸습니다. 

 

 

미국측은 군사 위성을 통해 공중에서 지상을 손금 들여다보듯 감시했고, 이라크측은 맥을 추지 못

했습니다. 다국적군이 장님을 상대로 하는 싸움 같았습니다. 사막의 모래 속에 숨겨 둔 이라크의

탱크도 미국의 미사일과 전투기가 교묘하게 찾아 산산조각 내었습니다. 전아랍인의 궐기를 부르

짖던 이라크의 후세인도 더 이상 견뎌 내지 못했습니다.

 

결국 전쟁이 일어난지 6주 뒤 쿠웨이트는 이라크의 점령으로부터 해방되었습니다. 1월 26일 새벽

1시 35분, 후세인은 쿠웨이트 주둔 이라크군을 철수한다고 발표했고, 다음 날 미국 부시 대통령은

전쟁을 끝낸다고 선언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