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씩씩한 사내를 '대장부'라고 하는데, 대장부의 속뜻은 정말로 남자다운 남자를 의미합니다.
즉, 마음이 넓고 이해심이 많으며, 예의 바르고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남자가 대장부인 것입니다.
이와는 달리 도량이 좁고 속좁은 남자를 '졸장부'라고 하지요!
모름지기 남자(사내)라면 졸장부가 되지 말고 대장부가 되어야 하는데요, 대장부의 한자는 大丈夫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大 : 큰 대), (丈 : 어른 장), (夫 : 사내 부)>입니다.
남자 어른을 한문으로 표현하면 장부(丈夫)인데, 여기에다 남자다운 남자라는 것을 강조하려고 큰
대(大)자를 덧붙인 것입니다.
대장부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맹자의 등문공 하>에 전해오는 이야기입니다.
경춘이 맹자에게 말했습니다. '위나라 공손연과 장의는 참다운 대장부가 아니겠습니까? 그들이 일단
성을 내면 제후들이 전쟁이 일어날까 겁을 먹고, 그들이 조용히 있으면 온 천하가 다 조용하니 말입
니다."
맹자가 말했습니다. "그들이 어떻게 대장부일 수 있겠는가? 그대는 예(禮)를 배우지 않았던가? '장부
가 처음 갓을 쓰게 될 때는 아버지가 교훈을 주고, 여자가 시집을 가면 어머니가 교훈을 준다. 늘
공경하고 조심하여 남편을 어기지 말라. 순종을 정당하게 여기는 것은 아내의 가야 할 길이다'하였다.
이처럼 순종하는 것은 부녀자의 생활에 지나지 않는다. 공손연과 장의는 임금의 뜻에 순종해 높은
벼슬을 얻고자 하니 어찌 대장부라 하겠는가. 대장부라면 모름지기 천하의 가장 바른 지위에서 가장
큰 도를 행하여야 한다."
맹자는 세상과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는 도리를 이행하는 사람이어야 남자 중의 남자인 대장부가 될
수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호탕해도 도리를 다하지 못하면 대장부라 할 수 없습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토지쟁, 어부지리 뜻 유래 요약 설명 (0) | 2016.05.13 |
---|---|
가화만사성 뜻과 유래 참고하세요 (0) | 2016.05.06 |
청천백일 뜻 예문 한자 유래 등 요약 설명 (0) | 2016.04.29 |
관중 포숙 진정한 우정 관포지교 고사성어 유래가 되어 (0) | 2016.04.26 |
배중사영 예문 한자 유래 등에 관한 상식 (0) | 2016.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