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식구는 가장 가까운 관계를 지칭하는 말인데, 가족과 식구의 차이는 무엇인지 구분하라면 두 단어의
의미 차이가 애매모호할 때가 많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가족을 지칭할 때 '식구'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물론 아주 잘못된 표현은 아니지만, 결코 옳은 표현도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전적으로 풀이하자면 가족은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으로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 관계를 의미하며, 식구는 한집에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이나
같은 조직에 속하여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이른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혼인이나 혈연 또는 입양 등으로 구성되지 않은 사람이 한집에 거주한다는 이유로 가족이라고 표현
한다면 틀린 말인 것입니다. 그럴 땐 식구라고 말해야 정확한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가족은 생계를 함께 하지 않아도 성립되지만, 식구는 생계를 달리한다면 성립되지 않습니다. 가령 자식이나
남편, 혹은 부모님이 생업을 위해 타지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관계로 한집에 거주하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비록 가족이지만, 식구라고 말하면 틀린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가족이라도 현재 함께 거주하면서 끼니를 함께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타지에서 생활
하던 가족이 다시 집으로 돌아와 일정 기간을 한집에서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면 그 때는 식구라고 표현해도
무방하게 되는 것입니다.
직장의 경우도 한가족 한식구라는 표현을 많이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한가족이란 표현은 잘못된 것입니다.
사전적인 의미로 보더라도 한조직에 속하고 함께 일하는 경우는 식구라고만 표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 가족이라는 표현을 진짜 가족 이외에도 친한 이웃, 혹은 직장동료에게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잘못된 표현이라고 할 것까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미는 정
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좋겠지요.
그럼 가족에는 누가 포함될까요?
친족으로는 배우자, 부모, 형제, 조부모, 손주, 등이 해당되며, 인척으로는 장인, 장모, 배우자의 형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가족 구성 단위는 2촌까지의 혈연이나 인척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에서 좀 더 확대하자면 친척 4촌과 인척 4촌까지가 되겠지요.
그러면 식구에는 누가 포함될까요?
물론 한집에 살고 있는 친인척인 가족은 당연히 포함됩니다. 그 외에 위탁아동이나 하숙생 등을 들 수 있는
데, 그들은 한집에서 함께 기거하며 매일 밥을 함께 먹기 때문입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가족이란 2촌 이내의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이며, 식구란 친족 개념을
배제한 상태에서 한집 혹은 한직장에서 함께 식사하거나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톳불 민들레 홀씨 으악새 뜻 바로알기 (0) | 2016.03.28 |
---|---|
햄버거의 유래 및 어원 알아볼까요 (0) | 2016.03.23 |
색맹 이유(원인) 무엇 때문일까 (1) | 2016.01.30 |
블랙홀이란 무엇인가 (0) | 2016.01.29 |
잠수병의 원인 증상 치료 등에 관한 상식 (2) | 2016.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