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부에게 생기는 잠수병의 원인은 폐 속의 질소가 제대로 방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잠수병
증상은 아주 심한 통증과 더불어 전신마비 혹은 근육의 경직을 일으키는 것인데, 잠수병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 또 어떤 병인지를 핵심만 간추려 알아보겠습니다.
잠수부가 수중에서 호흡하는 공기는 보통 공기와 같으므로 대략 20%의 산소와 80%의 질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잠수 중에는 수압과 같은 압력의 공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수심 10m인 경우
2기압이고, 수심이 20m이면 3기압의 공기를 호흡하게 됩니다.
이 때 잠수부의 폐에 들어간 질소 기체는 서서히 혈액에 녹아 혈관과 조직에 침입해 들어가게
되는데, 깊게 잠수할수록 녹아드는 질소의 양은 많아지게 되어 체내의 질소량은 1기압 상태의
포화도를 넘게 됩니다.
잠수부가 수면으로 부상할 때에 질소가 서서히 기체가 되어 폐로 방출되는데, 이때 기준 상승
속도보다 빨리 떠오르면 체내에 녹아 있는 질소는 폐를 통하여 방출되지 못하고 그대로 기화
하여 혈관 속에 남아서 혈액 순환에 지장을 주거나 국부의 조직을 파괴시키는데 이러한 병을
잠수병이라 합니다.
잠수병의 증상은 아주 심한 통증과 함께 전신이 마비되거나 근육의 경직을 일으키는 것이며,
이런 통증은 며칠간 계속되게 됩니다.
이밖에도 잠수부가 깊은 곳에 잠수한 후 호흡을 멈추고 떠오를 경우, 폐 속의 공기가 갑자기
팽창되어 폐가 터지거나 조직이 파괴되는 공기 전색증에 걸릴 위험이 있는데 이것도 잠수병의
일종입니다.
잠수병은 스쿠버 잠수부에만 해당되며 해녀들과 같이 맨몸으로 숨을 멈추고 잠수하는 경우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녀들이 잠수병이 없는 것입니다.
잠수병의 치료는 특별히 고안된 기압 탱크를 사용하여 잠수부가 잠수한 깊이만큼의 압력을 준
후 서서히 감압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맹 이유(원인) 무엇 때문일까 (0) | 2016.01.30 |
---|---|
블랙홀이란 무엇인가 (0) | 2016.01.29 |
오줌 누면 떨리는 이유 (0) | 2016.01.02 |
꿈꾸는 시간 얼마나 될까 그리고 졸릴때 눈 비비는 이유 (0) | 2015.12.27 |
곱슬머리 원인(이유) 알아볼까요 (0) | 2015.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