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작은 자녀의 부모님들을 위해 성장호르몬 부작용과 성장호로몬주사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린 자녀의 키가 또래보다 크지 않아 걱정인 부모님들이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 치료가 필요한 저신장증 아동은 매우 제한되어 있습니다.
소아의 저신장증은 질병에 의한 저신장증과 유전 혹은 특발성 저신장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질병성 저신장증을 초래하는 질병으로는 성장호로몬 분비장애, 터너증후군, 만성신부전, 프라더-윌리증후군,
부당경량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특발성 저신장증은 특별한 이유없이 해당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장보다 2 표준편차점수 이하 또는 3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로 전신적, 내분비학적, 영양학적 및 염색체 이상이 없을 때인데, 즉, 몸에 별다는 질병이 없고 성장호르몬이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소아로서 100명 중 키가 가장 작은 3명 정도만이 성장호르몬 치료 대상입니다.
<성장호르몬주사 부작용 및 해소법>
성장호르몬 치료는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장호르몬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발진, 전신가려움증, 주사부위 발적과 같은 과민증, 간 효소 수치의 증가, 구역, 구토, 복통 등 소화기계 장애, 어깨 관절통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근골격계 질환 및 백혈구 수 증가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부작용의 빈도는 대체로 낮은 편이며, 만약 성장호르몬주사 투여 중에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의사의 진료에 따라 투여를 중지 혹은 감량해야 합니다.
성장호르몬의 투여는 보통 보호자 또는 아이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투여 전에 의사 및 의료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투여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성장호르몬 투여시 지방조직위축증을 피할 수 있도록 주사 부위를 상완, 대퇴, 복부 등 광범위하게 찾아 번갈아 가며 투여하고 단기간 내에 동일부위에 반복하여 주사하지 말아야 합니다.
<성장호르몬 치료(주사) 효과>
우리나라에는 10여종의 성장호르몬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일부 품목은 특발성 저신장증에 대한 효능.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성장호르몬 치료제는 질병에 의한 소아 저신장증에 있어서는 분명히 성장 효과가 있으나, 특발성 저신장증에는 치료 시작 시기, 치료 기간, 골연령, 기타 개인별 특성에 따라 성장 효과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성장호르몬 치료는 장기간 지속되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의 경우에 치료가 필요한 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평가와 함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해서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고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성장호르몬 치료기간과 투여금지 대상>
성장호르몬 투여는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시작되어야 하므로 어린 나이에 시작하여 최소 6개월에서 1년 이상 장기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또한 당뇨병, 악성 종양, 골단 폐쇄, 뇌종양에 의한 소인증, 급성호흡곤란증, 성장호르몬제 과민증, 중대한 급성질환 등이 있는 경우는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식도 역류질환치료제 복용 시 주의사항과 위식도역류증상 및 원인 (0) | 2015.11.24 |
---|---|
페퍼민트차 효능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15.11.23 |
먹는 피임약 복용법 (0) | 2015.11.19 |
근막통증증후군 증상과 스트레칭 방법 (0) | 2015.11.18 |
장세척제 복용 주의사항 (0) | 2015.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