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

해주세요 띄어쓰기

꼬두암 2021. 1. 31.

'해주세요'는 '해 주세요'와 같이 띄어 써야 할까요? '해주세요'와 같이 붙여 써야 할까요? 해주세요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해주세요 띄어쓰기

 

<해주세요 띄어쓰기>

'해주세요'는 '해 주세요'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해주세요'와 같이 붙여 쓰기도 허용됩니다.

 

 

※ 원칙적으로는 '해 주세요'와 같이 띄어 써야 하지만 '해주세요'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됨.

 

- 해 주세요 (O)

- 해주세요 (O)

 

'해주세요'는 '하다'와 '주다'가 결합한 용언으로서 '하다'는 본동사(본용언)이고 '주다'는 보조동사(보조용언)입니다.

 

설명

 

한글맞춤법 제47항에서는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지만 '~아/~어/~여'에 이어지는 보조용언은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주세요'는 '해주세요'와 같이 붙여 써도 되고 '해 주세요'와 같이 띄어 써도 됩니다.

 

 

(예) 오늘 도착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O)

(예) 오늘 도착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O)

 

(예) 오늘은 함께 해주세요. (O)

(예) 오늘은 함께 해 주세요. (O)

 

(예) 제발 조용히 해주세요. (O)

(예) 제발 조용히 해 주세요. (O)

 

(예) 참석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O)

(예) 참석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O)

 

참고사항

 

<참고사항>

① 의존명사 뒤에 조사가 붙거나 앞 단어가 합성동사인 경우에는 보조용언을 띄어 써야 합니다.

 

 

(예) 잘난 체를 한다. (O) 

(예) 잘난 체를한다. (X) 

 

(예) 눈이 올 듯도 하다. (O) 

(예) 눈이 올 듯도하다. (X)

 

(예) 쓸어내 버렸다. (O)

(예) 쓸어내버렸다. (X)

 

② 또 보조용언이 거듭되는 경우에는 앞의 보조용언만 붙여 써야 합니다.

 

 

(예) 들어 볼 만하다. → 들어볼 만하다. (앞의 보조용언만 붙여 씀) 

 

(예) 검토해 볼 만하다. → 검토해볼 만하다. (앞의 보조용언만 붙여 씀).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띄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다 띄어쓰기  (0) 2021.02.13
할 때 띄어쓰기  (0) 2021.02.08
가량 띄어쓰기  (0) 2021.01.17
그날 띄어쓰기  (0) 2021.01.09
한 해 동안 띄어쓰기  (1) 2021.01.01

댓글